************************ 핵심 개념 *************************
1. 준 중성 상태 (Quasi-Neutrality)
2. 디바이 차폐 (Debye Shielding)
3. 집단 행동 (Collective Behavior)
4. 열적 비평형 상태 (Thermally Non-Equilibrium State)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본 포스팅은 플라즈마의 기본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앞선 포스팅에서 플라즈마는 '이온화 된 기체의 집합체'임을 배웠다.
하지만, 단순히 '이온화 된 기체'이기만 하면 플라즈마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.
주로, '이온화 된 기체'이며 '양전하의 수와 음전하의 수가 비슷하며 그 수가 매우 많은 경우 (100만개 이상)' 플라즈마라고 이야기한다.
이러한 플라즈마는 기본적으로 네 가지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.
1. 준 중성 상태 (Quasi-Neutrality)
2. 디바이 차폐 (Debye Shielding)
3. 집단 행동 (Collective Behavior)
4. 열적 비평형 상태 (Thermally Non-Equilibrium State)
모든 플라즈마는 1-3번의 특징을 나타내며, 4번은 저온 플라즈마에 한해 해당되는 내용이다.
이제 조금 더 쉽고 자세히 그 특성들을 살펴보자.
네 가지 특성에 관해 본 포스팅에서 제시한 그림들을 기억한다면 상당히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.
(개인적으로, 물리는 그림으로 기억해야 이해가 쉽고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)
1. 준 중성 상태 (Quasi Neutralitiy)
- 서두에 이야기한 것 처럼, 플라즈마는 '이온화 된 기체'이며 '양전하의 수와 음전하의 수가 비슷하며 그 수가 매우 많은' 녀석이다.
- 하지만, 일반적으로 양 전하의 수가 약간 더 많아서, 완전 중성 상태가 아닌 '준 중성 상태'에 해당된다.
- 즉, 플라즈마는 거시적으로 바라봤을 때, 약간의 양의 전하를 띄고 있는 녀석으로 보이게 된다.
- 이러한 준중성 상태를 그림으로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다.
- 주로 본 포스팅에선 음전하는 전자로만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.
2. 디파이 차폐 (Debye Shielding)
- 플라즈마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기장(혹은 내부에서 생긴)을 차폐하며 이것을 디바이 차폐 효과라고 부른다.
- 예를 들어 아래 우측 그림에서 처럼, 플라즈마 안에 양의 전하를 띈 입자가 생기게 된다면(이해를 위해 플라즈마 내부에 존재하는 양이온은 그림에서 생략했다), 전자들이 이 양 전하를 감싸며 양 전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기장을 차폐시킨다.
- 이렇게 전자들이 차폐시킬 수 있는 거리를 디바이 길이(Debye length)라고 한다.
- 차폐거리 외부에 있는 전자들은 이러한 양 전하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.
- 쉬운 이해를 위해, 떡에 콩가루를 뭍히는 예로 들어보자. 떡(이온)은 콩가루(전자)와 만나면서 그 점성을 잃어버리게 된다. 콩가루가 잘 발려진 떡은 이제 여분의 콩가루(차폐거리 외부에 있는 전자)를 뭍혀도 더 이상 붙지 않게 된다.
- 디바이 길이는 나중에 배울 '쉬스(sheath)'와 상당히 밀접한 개념이기 때문에 차후 더 설명하도록 하겠다.
3. 집단 행동 (Collective Behavior)
- 앞서, 플라즈마는 거시적으로 봤을 때 준-중성 상태에 있다고 배웠다. 그렇다면, 플라즈마는 전하를 거의 띄고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없지 않은가?
- 하지만, 플라즈마는 전기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(그렇기 때문에 주로 플라즈마는 전기 방전을 통해 만들어지게 된다)
- 이러한 특성을 플라즈마의 '집단 행동(Collective Behavior)'라고 한다. 마치 영화 범죄와의 전쟁처럼, 플라즈마는 집단적으로 움직인다.
- 이렇게 '집단 행동'을 나타내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. 미시적으로 봤을 때, 즉, 디바이 차폐 내에 있는 입자들은 준-중성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서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.
- 이 것이 디바이 차폐 중첩 거리 내에 있는 다른 입자에 영향을 주고.. 이러한 영향이 다른 입자에 영향을주고.. 하는 식의 형태가 되어 디바이 차폐 외부에 있는 입자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이 미치게 된다.
- 따라서, 플라즈마는 외부의 간섭에 의해 집단적으로 반응을하게 되는 것이다.
4. 열적 비평형 상태 (Thermally Non-Equilibrium State)
- 저온 플라즈마의 경우, 대부분의 외부 에너지는 전자 가열 반응을 통해 전자로 흡수된다.
- 이렇게 에너지를 얻은 전자는, 플라즈마 내에 있는 중성종이나 이온종에 충돌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.
- 하지만, 전자의 경우 중성종/이온종 대비 그 질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이러한 충돌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 매우 비효율적이다
- 전자가 축구공이라면, 아르곤 원자의 경우 10 톤 트럭 3 대 정도의 질량이 된다. 아무리 손흥민이 공을 찬다 하더라도, 축구공으로 10톤 트럭 3 대를 움직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말이다.
- 따라서, 전자의 경우 주로 온도가 10,000도~100,000도 정도인 반면, 중성종/이온종은 그 온도가 주로 수십 도에 해당된다. 이래서 이러한 플라즈마를 '저온 플라즈마'라고 한다. 그 이유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.
- 이러한 전자-중성종/이온종 온도가 다른 상태를, 물리적으론 '열적 비평형 상태에 놓여있다'라고 한다.
- 참고로, '전자들' 자체도 열적 비평형 상태에 존재할 수 있는데, 이러한 상태도 '열적 비평형 상태'에 있다고 한다.
(이부분은 나중에 다뤄보도록 하겠다)
'물놀이, 물리를 놀이처럼 > 플라즈마 물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1- 저압 플라즈마의 이해 (0) | 2025.01.25 |
---|---|
플라즈마의 죽마고우, 쉬스 (sheath) - 쉬스의 이해 (1) | 2025.01.08 |
플라즈마, 어디까지 뻗어있니? - 플라즈마의 응용분야 (0) | 2023.02.12 |
플라즈마란 무엇인가? — 플라즈마 정의와 종류 (0) | 2020.11.22 |
플라즈마 물리 - 포스팅 예정 목록 (0) | 2020.10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