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는 학부때 물리학을 전공했고, 대학원은 실질적으로 플라즈마 물리학을 전공으로 하고 있다.
※ 공식적으로는 대학원 전공도 '물리학'으로 표기되지만, 이것은 학과의 특성이고 실제 전공은 '플라즈마 물리학'이므로 '실질적으로'라고 표기했다.
본 「플라즈마 물리」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와 같은 계획으로 업로드될 예정이다.
대상은 일반인을 기준으로 쉽고 간략하게 작성하는 개론 부분과, 일반 물리학 지식의 수준을 가진자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'[심화편]'으로 구성할 계획이다.
물론, 하기 목록은 '계획'이므로 특정 목적이나 누군가의 요청에 의해 순서나 분량이 변동될 수 있음을 미리 알린다.
(분량의 경우, 줄어들기보단 늘어날 확률이 높을것으로 생각한다)
01. 플라즈마(plasma)란 무엇인가? - 플라즈마 정의와 종류
02. 플라즈마는 4가지가 있는 착한 녀석-플라즈마의 4가지 기본 특성
03. 플라즈마, 어디까지 뻗어있니? - 플라즈마의 응용분야
04. 플라즈마의 죽마고우, 쉬스 (sheath) - 쉬스의 이해
05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1- 저압 플라즈마의 이해
06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1- 저압 플라즈마의 이해 2
07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1- 저압 플라즈마의 이해 3
08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2- 직류전원 플라즈마의 이해
09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2- 교류전원 플라즈마의 이해
10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2- 대기압 플라즈마의 이해
11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3[심화편] - 축전결합 플라즈마의 이해
12. 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3[심화편] - 유도결합 플라즈마의 이해
13. 플라즈마 측정(진단) 시리즈 1- 랑뮤어 탐침(Langmuir Probe)의 이해
14. 플라즈마 측정(진단) 시리즈 1- 고조화 탐침(Harmonic Probe)의 이해
15. 플라즈마 측정(진단) 시리즈 1- 초고주파 탐침(Microwave Probe)의 이해
16. 플라즈마 측정(진단) 시리즈 2[심화편] - 랑뮤어 탐침(Langmuir Probe)의 이해
17. 플라즈마 측정(진단) 시리즈 2[심화편] - 고조화 탐침(Harmonic Probe)의 이해
18. 플라즈마 측정(진단) 시리즈 2[심화편] - 초고주파 탐침(Microwave Probe)의 이해
포스팅이 완료되는 목록에는 링크를 걸어둘 예정이므로 참고하길 바랍니다.
'물놀이, 물리를 놀이처럼 > 플라즈마 물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라즈마는 어떻게 만들까? 1- 저압 플라즈마의 이해 (0) | 2025.01.25 |
---|---|
플라즈마의 죽마고우, 쉬스 (sheath) - 쉬스의 이해 (1) | 2025.01.08 |
플라즈마, 어디까지 뻗어있니? - 플라즈마의 응용분야 (0) | 2023.02.12 |
플라즈마는 4가지가 있는 착한 녀석-플라즈마의 4가지 기본 특성 (1) | 2021.03.14 |
플라즈마란 무엇인가? — 플라즈마 정의와 종류 (0) | 2020.11.22 |